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lanB
- 카르다노
- sec 소송
- 리플 소송
- 이더리움 호재
- 암호화폐 폭락
- 우크라이나 침공
- 플랜비
- 러시아 전쟁 선포
- 코인 시즌 종료
- sec
- 러시아 전쟁
- 러시아 침공
- ISO 20022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2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코인 하락
- 이더리움 대체자
- 에이다
- 리플 SEC
- 러시아 암호화페
- 이더리움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12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1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중국코인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3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금리 인상
- 리플소송
- 리플 전쟁
- 연준
- 우크라이나 전쟁
- Today
- Total
woongeverything
FOMC 회의 결과로 말도 안되는 상황이 일어났다? 본문
새벽 사이에 있던 FOMC 회의 결과가 별 일 없이 무난하게 끝났네요
함께 하나씩 알아볼까요?
FOMC 회의 성공적?
결과적으로 참 다행스럽게도 여러모로 불안감을 키웠던 미국 연준의 FOMC 회의가 시장의 예상에 딱 들어맞게끔 나와주면서 주식 시장도 암호화폐도 랠리를 벌였어요
쉽게 말해 시장의 예측이 들어맞아 랠리를 벌인 것이라기 보단 시장의 불확실성이 제거됐기 때문에 시장이 환호한 것으로 바라볼 수 있죠
정책 불확실성이라는 게 시장에는 그만큼 적잖은 위협 요소인 것으로 볼 수 있어요
불확실성이 어떻게 사라진 것인지 보면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의 회견 내용 중에 경제 지속 성장 가능과 오미크론에도 불구하고 테이퍼링의 가속 가능성을 언급하며 매달 300억 달러의 매입 규모로 확대했다고 해요
또한 금리 인상 면에서는 22년에 3차례, 23년에 3차례를 한다고는 하는데 현재 수준의 금리 유지가 적절하다고 하는 걸 보면 시간이 지나면 어떤 스탠스를 취할지도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최근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역할을 못한다는 말들이 많았어요
시장 전반에 충격이 왔을 때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이 아니라, 미국 국채로 향하더라, 이런 부분이 대표적으로 제시되곤 하죠
그런데, 기간은 충격 시점이 아닌 팬데믹 기간 전체에 걸쳐서 봤을 때 비트코인의 수익률이 금보다, S&P500보다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더 나은 정도가 아니라 아주 많이 무척 훨씬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케인리서치는 이걸 놓고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 역할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어요
시장도 랠리성 반응을 하고, 비트코인 역량을 호평하는 데이터도 나오곤 있지만, 여전히 조심성에 대한 지적도 존재하지만 확실히 트렌드는 무시 못하는 것 같네요
글로벌 마진 거래소 비트멕스 전 CEO의 경우에는 거시적 리스크가 아직 많이 남아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시장을 관망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도 했어요
이더리움과 리플의 흐름
AMB크립토는 이더리움이 최근 가격 흐름이 안정적이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희 희망적이라는 낙관적 톤의 분석을 내놨어요
간단히 정리하면 거래소 고래 지갑의 이더 물량은 감소한 반면 거래소 밖 고래 지갑의 이더 물량은 증가했다, 다시 말해 매도 압력을 낮추는 분명한 시그널이 포착된 만큼 충분히 희망을 가져볼 만하다고 하네요
올 한 해 동안 이더리움이 워낙 각광을 받다 보니까, 이더리움 킬러 프로젝트들에 대한 관심 역시 굉장히 뜨거웠죠
1등 킬러는 단연 솔라나인데, 못지 않게 주목받고 있는 것이 아발란체라는 코인이에요
확장성이 워낙 뛰어나서 이더리움의 단점을 잘 보완한다는 것이 호평받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암호화폐 산업에 가장 적극적인 레거시 금융 가운데 한 곳인 뱅크 오브 아메리카가 아예 대놓고 아발란체가 이더리움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발언까지 하여 화제가 되었어요
또한 스위스에서는 아주 재미진 토큰이 출시되었어요
실물 금에 기반을 둔 디지털 토큰이 출시됐는데, 이더리움 기반의 ERC 20 토큰으로, 실물은 스위스 금고에 저장되고 보유자는 토큰을 스테이블 코인처럼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됐다고 해요
리플의 경우에는 갑자기 싱가포르와 연관 지어진 말들이 나와서 이건 뭔가 싶어서 봤더니 리플의 핵심 파트너이자 투자자인 일본 SBI홀딩스가 싱가포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하코 운영사에 투자한다는 소식 때문이에요
SBI홀딩스가 그동안 리플의 확장성을 위해 엄청난 공을 들여온 만큼, 미국 SEC 이슈가 혹여라도 삐끗하는 방향으로 나올 경우 싱가포르는 물론 SBI가 투자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거래소에서 XRP ETF 출시로 사실상 미국 정부에 맞불을 놓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되고 있어요
다소 뇌피셜일 수도 있고 XRP ETF가 아직 좀 멀게 느껴지긴하지만, 확실한 건 SBI는 어떻게든 리플의 이더리움 정도의 수준으로 만들려고 노력할 것이라는 점이에요
시장의 불확실성은 제거됐고 단기적으로는 아래가 아닌, 위를 향하고 있는 방향성은 정해졌어요
물론, 이게 연말 불장 랠리의 전 단계가 될지, 잠깐 반짝하고 말지는 모르는 일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대가 높아지는 것은 그만큼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컸기 때문이라는 점을 알 수 있어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nB, 사과와 함께 예언? (0) | 2021.12.18 |
---|---|
리플 홀더가 꼭 알아야 할 리플 소송 행방? (0) | 2021.12.17 |
리플 40%폭락한다? (0) | 2021.12.15 |
암호화폐 시장 이대로 사라진다? (1) | 2021.12.14 |
이더리움 바닥 찍는다?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