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더리움 대체자
- 이더리움
- 리플소송
- 리플 소송
- 카르다노
- 러시아 전쟁 선포
- 우크라이나 전쟁
- 러시아 전쟁
- 에이다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3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ISO 20022
- 코인 시즌 종료
- 연준
- 우크라이나 침공
- 리플 전쟁
- 러시아 암호화페
- sec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2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코인 하락
- 암호화폐 폭락
- 금리 인상
- PlanB
- 리플 SEC
- 중국코인
- sec 소송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12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이더리움 호재
- 플랜비
- 러시아 침공
- 리플 호재 #리플 #코인 #코인 호재 #1월 코인 호재 #가상화폐
- Today
- Total
woongeverything
다시 시작된 비트코인 폭락? 본문
매일매일이 조정과 폭락의 연속인 하루들이네요
간밤에는 어떤 서늘한 소식이 있었나 볼까요?
비트코인 폭락?
비트코인은 4만 6천 달러도 겨우 지지를 받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일시적으로 4만 5천 달러 선으로의 후퇴까지 확인되었어요
과연 조정의 끝은 언제 오는 것인지 대체 왜 이렇게 떨어지는 것인지 누구들 말처럼 비트코인 20만 달러가 헛소리는 아닌 건지 여러 생각들을 갖게 만드는 연말이네요
현재 연말 비트코인 하락 원인을 두고 여러가지 분석들이 제기되고 있는데 현지시간으로 30일로 예정된 비트코인 옵션 만기 영향이라는 분석이 우선이에요
12만9800개, 60억 달러 규모의 옵션만기를 앞두고 비트코인이 4만 8천 달러 아래로 후퇴했다는 것인데, 현물 거래량은 거의 비슷한 상황에서 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최대 손실 지점으로 지목된 4만 8천 달러 부근으로 후퇴했다는 것이죠
옵션만기일에 무조건 하락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변동성은 여전히 감안해 둘 필요가 있는 상황이네요
또 다른 원인으로는 연말을 맞아 기관들의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최근 비트코인의 하락세를 이끌었다는 분석이에요
이와 관련해 리얼 비전 그룹 CEO 라울 팔은 현재 기관의 매도 물량이 모두 소화가 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어요
이렇게 되면 연초에 기관 자금이 다시 재배치되면서 상승장으로의 반전이 가능하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이건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이네요
결국 개미 투자자입장에서는 차트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과 이슈를 통해 정보 분석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인데, 비트코인의 방향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어요
차트적으로는 단기적으로 4만 달러까지 후퇴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고, 중장기적으로는 2022년에 20만 달러까지 도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어요
나름의 근거들이 제시돼 있으니까, 이런 부분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리플 소송은 언제쯤?
리플 소송과 관련해서 XRP홀더들의 대변인 역할을 하면서 열일하고 있는 존 디튼 변호사가 모처럼 강하게 말했어요
안 그래도 미국 정부기관 감시 시민단체가 SEC를 상대로 민사 소송을 제시한 상태인데, 이런 상황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인지 디튼 변호사가 제이 클레이튼 위원장 시절의 부적절한 일화를 폭로하면서 주목도를 높이고 있어요
내용을 보면 가관인데, 권력과 위선이라는 단어는 동서고금, 시대를 초월화는 키워드가 아닐까 생각되기도 하네요
비트코인 상황 자체는 침체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ETF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사실, 12월 비트코인은 올해 결정적 폭락장이 벌어진 5월보다도 저조한 월간 실적을 보이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ETF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역시나 중요한 것은 신뢰와 충성도인 것인지 여러 생각을 갖게 만드는 것 같네요
시간의 범위를 5년에서 10년으로 늘릴 경우에는 글로벌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되고 있어요
암호화폐를 자산 클래스로 무시하는 건 실수라고 단정적으로 말하면서 이런 건설적인 전망을 내놓은 인물은 블루프린트 캐피탈 CEO 제이콥 월서라는 인물이네요
가만 생각해 보면 모든 투자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기대림과 인내, 멘탈 관리가 최고인 것 같아요
어렵고, 짜증나고, 불안한 장세는 분명한데, 그렇다고 손해보고 나갈 필요가 있는 상황인가, 여기에는 여러 의견들이 가능할 것 같아요
나의 시간은 잠시 미뤄두시고 시장의 시간이 다가오기를 기다리는 게 좀 더 현명한 투자자의 자세가 아닐까 싶네요
원하는 방향대로 절대 흘러가지 않는 투자판에서 견디는 사람이 결국 승자가 되겠죠모두가 힘내고 차분하게 상황을 관망하며 대응했으면 하네요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초의 비트코인 장세는? (1) | 2022.01.02 |
---|---|
21년의 마지막, 비트코인은 어떻게 될까? (1) | 2021.12.31 |
비트코인 이대로 폭락장 도래? (0) | 2021.12.29 |
비트코인 드디어 하락 추세 탈출? (1) | 2021.12.28 |
비트코인 적정 가치가 10만 달러이다? (1) | 2021.12.27 |